top of page

​스마트공장, DX, AX 그리고 ESG경영

변화를 선도하는 통찰을 발굴하여 나누고자 합니다

Painting Wall


근우(주)의 충북 음성 스마트공장 신공장 신축 및 이전은 기업의 성장과 경쟁력 강화에 여러 측면에서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생산 효율성 및 규모의 대폭 확대

  • 음성 스마트공장 가동으로 기존 대비 생산 효율성이 5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판금, 도장, 조립 등 전 공정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형 공장 체계를 갖추면서 생산량 확대와 납기 단축이 가능해졌습니다45.

  • 이에 따라 데이터센터, 종합병원 등 대형 수요처에 대한 대량 공급 역량이 크게 향상되어, 최근 급증하는 수주 물량을 안정적으로 소화할 수 있게 됐습니다24.


신기술 적용 및 품질 경쟁력 강화

  • 신공장은 국제 표준(IEC61439 등)에 부합하는 생산설비를 갖추고 있어, 글로벌 시장에서 요구하는 품질 기준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2.

  • 슈나이더일렉트릭과의 전략적 제휴, 블록셋 판넬 생산설비 도입 등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과 수입대체 효과가 기대됩니다2.

  • 자동화 및 스마트팩토리 시스템 도입으로 생산 공정의 정밀도와 일관성이 높아져, 기술 특허 제품(예: 안전교체분전반, CLCU-BusBar 등)의 품질 경쟁력이 강화됩니다24.


성장 가속화 및 신규사업 진출 기반

  • 신공장 이전으로 근우는 신재생에너지, 소방, 정보통신, 데이터센터 등 신규 사업 분야 진출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5.

  • 2025년 기준 1,700억 원 이상의 수주잔고를 확보하는 등, 매출 성장세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습니다45.


글로벌 시장 확대 및 브랜드 신뢰도 상승

  •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 국제 규격 제품 생산 역량 확보로 수출 및 해외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됩니다2.

  • 대형 프로젝트(예: 데이터센터 건설 등)에서의 신뢰도와 입지가 강화되어, 국내외에서 브랜드 가치가 상승하고 있습니다45.



ree


결론

근우의 음성 신공장 신축·이전은 단순한 생산시설 확장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생산 효율성과 품질 경쟁력, 글로벌 시장 진출 역량, 그리고 미래 성장동력 확보 등 다방면에서 기업의 '제2의 도약'을 이끄는 핵심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245.



참고 자료

 
 

CGMP는 Cosmetic Good Manufacturing Practice를 의미하며, 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와는 다르게 정의되고 있습니다. 화장품업계에서만 적용되는 GMP라고 보면 될 것 입니다(편집자 주)



소개 배경


화장품업계의 3대 OEM, ODM업체인 코스맥스, 콜마, 코스메카가 모두 CGMP를 인증 받고 있는 점은 한국 화장품산업과 업계에 유의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이런 점에서 3개 기업의 CGMP사례를 요약하게 게재합니다. 화장품업계의 CGMP논의는 현재 폭넓게 추진되는 스마트공장적용이나 DX경영의 적용과도 연관성이 있어서 의미 있는 논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ree


K-뷰티의 글로벌 도약과 OEM·ODM의 역할


한국의 화장품 산업은 최근 몇 년 사이 세계 시장에서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과 ODM(제조업자개발생산) 기업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세계 트렌드에 발맞춰 최고 수준의 품질관리와 효율적인 생산시스템을 구축하며 ‘K-뷰티’의 글로벌 경쟁력을 실현해왔죠. 특히, 제조 및 품질관리 분야의 핵심인 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도입은 신뢰성과 품질 향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ree


한국콜마: 국내 1호 cGMP 인증의 저력


한국콜마는 국내 최초로 식약처에서 인증받은 1호 cGMP 적합업소로 지정되며, 자타공인 ‘품질의 대명사’가 되었습니다. 신규 도입 당시부터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생산라인과 체계적인 위생관리를 도입했고, ISO 22716 인증까지 취득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했습니다. 최근에는 AI 공정을 접목한 최첨단 생산기지를 신설, 연간 2억2천만 개 수준의 생산력을 앞세워, 중동과 동남아 시장을 위한 할랄(Halal) 보증 시스템을 운영하는 등 미래지향적 품질관리도 놓치지 않고 있죠. 친환경 물류와 실시간 재고 시스템 역시 효율성과 신뢰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한국콜마의 계열사 콜마스크도 CGMP 및 ISO22716 기준에 맞춰 마스크팩 특화 생산시스템을 구축, 품질관리의 롤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두 기업의 사례는 업계 전반에 선한 영향력을 미치며, 국내외 화장품기업들이 cGMP 도입에 적극 나서는 촉매제가 되었습니다.




ree


코스맥스: 세계 최고 수준의 인증 체계와 생산 인프라


코스맥스는 국내 화장품 ODM 업계에서 가장 많은 글로벌 품질 인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cGMP뿐 아니라 ISO 22716, 9001, 14001, 45001, COSMOS, 미국 FDA, 캐나다 헬스캐나다 등 주요국가의 까다로운 규정을 모두 통과했습니다. 세계적 기업인 로레알, 존슨앤존슨과의 실사 협업을 통해 글로벌 품질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 고객사의 해외진출까지 적극 지원합니다.

공정 면에서도 평택 2공장에는 최신 자동화 설비를 갖춰 월 1,100만 개에 달하는 색조제품을 안정적으로 양산합니다. AI, 빅데이터와 결합된 이 공정 혁신은 생산효율을 20% 이상 끌어올렸고, 연간 27억 개 넘는 제품 생산능력을 기반으로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ree


코스메카코리아(코스메틱): 스마트팩토리 도입과 QCDS 혁신


코스메카코리아는 소비자 중심의 스마트 공장 전략으로 ‘QCDS’(Quality, Cost, Delivery, Service) 지표 혁신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2019년 Level 1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시작으로, 2022년에는 실시간 재고관리와 데이터 대시보드가 적용된 Level 2까지 업그레이드하며 불량률을 줄이고 신뢰도를 높였습니다. ISO-GMP, cGMP 모두를 충족하는 글로벌 기준의 품질관리시스템을 확보함으로써, 미국·중국 등 해외지사까지 운영하며 ‘화장품의 메카’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스마트공장 고도화와 R&D 역량 강화에 힘입어, 2021년에는 사상 최대 매출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코스메카코리아의 혁신적 QCDS와 스마트팩토리 사례는 K-뷰티 제조업계의 표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현재 스마트공장 Level4에 해당하는 K-등대공장 구현을 위해 지속적인 스마트공장과 DX 경영혁신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ree



글로벌 스탠다드가 된 K-뷰티 제조 혁신


한국콜마, 코스맥스, 코스메카코리아 세 회사의 cGMP 도입 사례는 한국 화장품 산업이 세계 시장에서 신뢰받는 배경임을 잘 보여줍니다. 이들은 단순히 표준을 지키는 것을 넘어, AI·자동화·스마트팩토리 등 혁신을 거듭하며 세계 시장의 변화를 선도하고 있죠. 앞으로도 이들의 도전과 변화가 K-뷰티 신화의 동력이 될 것임은 분명해 보입니다.

 


ree




참고 문헌

  1.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CGMP)해설서 개정 ..., https://www.mfds.go.kr/brd/m_647/view.do?seq=22561&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5

  2. CGMP 우수 화장품 제조 및 품질 관리 기준, https://blog.naver.com/jackiestory/222981261139?viewType=pc

  3. 식품의약품안전처,「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 https://kcia.or.kr/home/edu/edu_01.php?type=view&no=16508&ss=

  4. 화장품 CGMP 적합업소 현황, https://www.mfds.go.kr/brd/m_647/view.do?seq=33247&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2

  5. [CGMP] 화장품, 제조사도 제대로 알자!, https://planner-cho.tistory.com/17

  6. CGMP(현행 우수 제조 관리 기준): 식음료 및 화장품 ..., https://www.centricsoftware.com/ko/blog/what-is-cgmp/

  7. 화장품 CGMP / ISO22716 차이점은 무엇인가?, https://blog.naver.com/kjc5403/221084740929?viewType=pc

  8.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CGMP)해설서, https://kcia.or.kr/home/law/law_01.php?type=view&no=15022&ss=page%3D4%26skind%3D%26sword%3D%26ob%3D

  9. 화장품 제조의 품질과 안전성: ISO 22716과 대한민국 CGMP ..., http://www.theonecos.com/News/?bmode=view&idx=17545480

  10. 한국콜마, https://www.kolmar.co.kr/pr/news.php?ptype=view&idx=5930&page=22&code=korBasic

  11. 콜마스크, 식약처 CGMP 인증 획득, https://cosmorning.com/news/article.html?no=22570

  12. COSMAX, https://www.cosmax.com/new/sustainability/initiative_iso_global.asp

  13. 코스맥스 "평택 2공장 정식 가동…총생산능력 27억개로 확대"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40129029200030

  14. [스마트 공장 탐방] 코스메카코리아 - 최고 QSDC 갖춘 글로벌 화장품 선도기업:충북넷, https://www.okcb.net/99307

  15. Digital Showroom, https://exhibitors.informamarkets-info.com/event/CA2022/en-US/exhibitor/339747/cosmecca-korea-co---ltd

 

 
 

🔧 1. R&D (기술개발) 분야

① 시장확대형(후불형) 기술혁신개발사업

  • 신청기간: 5월 8일 ~ 5월 21일

  • 대상: 최근 매출 20억 원 이상 중소기업

  • 내용: 도전적 기술개발에 대해 후불형으로 지원

  • 지원금액: 최대 6억 원 (2년간)


②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 신청기간: 5월 7일까지

  • 대상: 업력 7년 이하 + 매출 20억 미만 + 첫 정부 R&D 수행 중소기업

  • 내용: 창업초기 기술개발 지원

  • 지원금액: 최대 2억 원 (1년 6개월)


③ 서울 보증연계 R&D

  • 신청기간: 5월 12일까지

  • 대상: 서울 소재 중소기업

  • 내용: 시제품 개발 및 시험인증 지원

  • 지원금액: 최대 2억 원


🚀 2. 창업/벤처/사업화 분야

① 로봇 스타트업 지원사업

  • 신청기간: 5월 15일까지

  • 대상: 창업 3년 이내 로봇 기업

  • 내용: 시장검증, 전시참가, 제품화 등

  • 지원금액: 최대 1.7억 원 (민간부담금 3천만 원 필요)


② 보증연계투자 대상기업 공모

  • 신청기간: 5월 30일까지

  • 대상: 창업 5년 이내 기술기업

  • 내용: 보증+투자 연계형 자금지원

  • 지원금액: 최대 30억 원


③ 팁스(TIPS) 창업기업 지원

  • 신청기간: 상시접수

  • 대상: 팁스 운영사 추천 창업기업

  • 내용: R&D + 글로벌진출 + 비R&D 사업화

  • 지원금액: 최대 15억 원 (트랙별 상이)



🧠 3. 스마트서비스/공장자동화/디지털혁신 분야

① 스마트서비스 지원사업

  • 신청기간: 5월 23일까지

  • 대상: 중소기업 + ICT 솔루션 도입 컨소시엄

  • 내용: AI, 빅데이터 기반 서비스 고도화

  • 지원금액: 유형별 상이 (신규/고도화 등)


② 대·중소상생형 스마트공장 (삼성형)

  • 신청기간: 5월 7일까지

  • 대상: 제조 중소·중견기업

  • 내용: 공정 자동화, 생산성 향상, 품질개선 등

  • 지원금액: 공고문 내 개별사업 기준


👥 4. 고용/인력 분야

① 고용창출 및 안정장려금

  • 신청기간: 12월 31일까지

  • 대상: 전국 기업

  • 내용: 고용창출 시 장려금 지급

  • 지원금액: 유형별 상이 (고용촉진형, 출산육아기 안정 등)

 
 
최근 게시물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