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AX 기술 공급 기업 소개
페블러스(Pebblous) 기술 분석 보고서
Introduction
**페블러스(Pebblous)**는 AI 학습 데이터를 위한 데이터 품질 진단, 합성 데이터 생성, 시각화 도구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자율형 데이터 플랫폼 기업입니다. 스마트 제조, 국방,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에서 AI 데이터 품질 확보와 규제 대응을 위한 핵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가트너(Gartner)**로부터 데이터 품질 및 합성 데이터 분야의 주목할 기업으로 언급된 바 있습니다.
기업 기본 정보: 스타트업
종업원 수: 18명
🔍 Technical Features
1. AADS (Agentic AI Data Scientist) 플랫폼
데이터 품질 진단~개선~규제 대응까지의 자동화된 전 과정 처리:
Planner: 목표 기반 실행계획 자동 수립
Tool Router: 적합한 품질 개선 API 호출 자동화
KONI LLM: 과학기술 특화 추론 엔진 (LogicKor 벤치마크 1위)
Chart VLM: 차트/이미지 등 시각 정보 분석 가능한 멀티모달 모델
Data Clinic: 결측/이상치 처리, 편향 제거 등 30개 이상 특허 기술 기반 품질 개선
Dual Governance Engine: ISO 42001, EU AI Act 등 주요 규제 자동 대응
2. Data Clinic
다층 구조의 데이터 품질 진단 체계:
레벨 I: 결측치, 클래스 불균형 등 기본 통계 진단
레벨 II: 사전학습 기반 특성 추출 및 분석
레벨 III: 도메인 특화 렌즈 기반 진단 및 시각화
품질 보고서 자동 생성 (PDF, 웹, 모바일 버전 제공)
3. PebbloScope
3D 인터랙티브 데이터 시각화 툴:
데이터셋을 최적 임베딩 공간에 시각화하여 클러스터링, 데이터 간 유사성, 과밀 여부 시각 분석
렌즈 기반 분석 기능으로 통계적 이상 패턴 탐지 가능
4. Synthetic Data Generator
정밀 타기팅 합성 데이터 생성:
저밀도 영역, 경계 영역 등을 타겟으로 데이터 벌크업
개인정보 보호, 데이터 부족 해결, 예외 상황 대응을 위한 합성 데이터
활용 기술: 3D 그래픽 + 생성형 AI 하이브리드
적용 예시:
군 감시장비 데이터
폐플라스틱 분류
아동 통학차량 내부 모니터링
식단 섭취 모니터링
💡 Innovation
자율형 데이터 과학자(Agentic AI) 개념을 실현한 대표 사례:
데이터 과학자 역할의 80% 이상을 대체하는 완전 자동화 설계
LLM과 멀티모달 VLM을 활용한 품질 진단+생성 통합 모델
규제 대응 자동화 모듈(Dual Governance Engine) 내재화: 국내외 데이터 규제 기준 대응
정밀 타기팅 합성 데이터 생성 기술:
경계 타기팅, 밀도 타기팅 기법으로 원본 분포 유지하며 AI 성능 개선
비정형 데이터 품질 진단까지 아우르는 독자 기술력 (경쟁사 대부분은 정형 데이터에 한정)
🏭 Application Cases
1. 국방 산업
해병대 연평도/백령도 감시 합성 데이터:
파도 높이, 안개 농도, 주야간 조건 등 복잡한 시뮬레이션 기반 AI 학습용 합성 데이터 구축
EO RGB, IR 환경까지 포함한 실전 시뮬레이션 대응형 데이터 생성
2. 자원 재활용
폐플라스틱 분류 합성 데이터:
재질 기반 자동 분류 학습을 위한 정밀 합성 이미지 제공
자원 재활용 효율 향상에 기여
3. 식단 모니터링
잔반량 및 칼로리 분석 데이터 생성:
실제 촬영 이미지 부족을 보완해 다양한 식단 상황 재현
4. 의료/동물 영상
Pet Bone Dataset:
반려동물 엑스레이 영상 기반 근골격 질병 진단용 데이터셋
품질 진단 및 개선 리포트 제공
5. 공공사업 수주 이력
2025년 6월: 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 데이터 품질 사업 수행
2025년 7월: 국가대표 AI 사업 진출
2025년 8월: 글로벌 빅테크 육성사업 선정
2025년: 조달청 혁신제품 등록
🧾 Conclusion
페블러스는 단순한 데이터 품질 진단을 넘어, AI 훈련 전 과정의 데이터 수명주기를 통합 관리하는 기술력을 확보한 기업입니다. 특히 Agentic AI 기반의 자율형 데이터 플랫폼, 정밀 타기팅 합성 데이터 생성 기술, 규제 대응 자동화는 산업 전반에서의 AI 도입 장벽을 현저히 낮추는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스마트팩토리, 국방, 의료, 공공 데이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신뢰성과 AI 모델 성능 확보가 중요한 기업에게 페블러스의 기술은 전략적 자산이 될 수 있으며, 향후 AI 규제 강화 및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확대됨에 따라 높은 시장 확장성을 보유한 기업으로 분석됩니다.
페블러스(Pebblous) 기업 프로필
페블러스(Pebblous)는 데이터 품질 평가 및 개선 기술을 기반으로 AI와 데이터 산업의 글로벌 성장을 목표로 하는 스타트업입니다. 2021년 11월 설립 이후 인공지능·빅데이터 학습용 데이터의 품질 진단과 개선을 SaaS 구축 '데이터 클리닉' 등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포스트테크 학파+ 3
기업개요
설립연도 : 2021년 11월
대표자 : 이주행(POSTECH 컴퓨터공학 박사)
주요 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본사는 서울
주요 수 : 약 18명(2024년 4월 기준)
기업의 핵심 : 데이터 품질 평가 및 개선 분야의 주요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AI 데이터 시장에 있습니다.스타트업.코리아+ 2
주요 고객사 : 현대자동차, 한화비전, TKG, 자이언트스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스타트업.코리아
주요 사업 및 제품
데이터 클리닉(Data Clinic) : AI 및 빅데이터 분석/학습용 데이터에서 새로운 내용이 아닌 편향, 개발자, 슬라이더 등을 분석하고 SaaS 기반으로 개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포스트테크 학파+ 3
블로스코코프(PebbloScope) : 비동기 데이터셋의 인터랙티브 배치 도구로, 품질을 점검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입니다.전자신문+ 1
주요 적용 : 데이터 클린징, 품질 높이화, 데이터 기반 조직 최적화, 클라우드·AI플랫폼 데이터 전처리.스타트업.코리아
기술 및 경쟁력
핵심 기술 : 데이터 품질 기반 품질 평가, 머신러닝 분석, 정리 데이터셋에 적합, 데이터 품질 개선 등.링크드인+ 1
특허 : 합성/가상 데이터의 처리 및 품질개선 관련 특허 출원 및 등록(2024년 기준).스타트업.코리아
정부 사업/인정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주요 R&D 사업수행, CES 2024 참가, 신용보증기금 '퍼스트펭귄' 선정 등.포스트테크 학파+ 1
수상 경력 : 한국경제 디지털이노베이션 IT부문 대상입니다.스타트업.코리아
현재와 거래 상황
처리 : 2024년 2.9억원, 2023년 3.2억원, 2022년 4.3억원.스타트업.코리아
투자유치 : 시드/Pre-A 단계, 코리아에셋 투자 증권, 현대차 증권, 투자자 은행 등으로부터 수억 원 크기 투자 거래소.스타트업.코리아
기업의 자세와 플레이어상
가치관 : 도전정신, 꾸준함, 데이터에 대한 열정과 진심을 강조합니다.포스트테크 학파
기술철학 : 데이터의 잠재력 극대화와 AI 데이터 품질의 글로벌 표준 정립.포스트테크 학파+ 1
기타 참고 사항
유명명의 의미 : Pebble(조약돌)과 Fabulous(멋진)를 합친 합성어.디스타트업
주요 미디어 옆 : 주요 AI·IT 박람회 및 미디어에서 신기술·B2B SaaS 경쟁력 집중 조명.전자신문
페블러스는 데이터 품질 혁신을 통해 인공 지능 신뢰성과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AI 데이터 관측기에 앞장서고 있는 국내 데이터테크 스타업이다.링크드인+ 3
참고 자료
https://d-startup.kr/board.es?mid=a10710000000&bid=0005&list_no=10834&act=view
https://www.jobplanet.co.kr/companies/397467/reviews/%ED%8E%98%EB%B8%94%EB%9F%AC%EC%8A%A4
페블러스 Data Clinic과 AAI
이정원 부대표의 발표 자료
데이터 스스로 품질을 관리하고 규제를 준수한다면?
Agentic AI Data Scientist : AADS
**AI Ready Data**






만약 AI 개발에 쓰이는 데이터가 스스로 품질을 관리하고 규제까지 준수한다면?
Pebblous의 창업의 질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