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I 활용한 4차 산업혁명 쪼개고 합치기

한석희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중의 열기는 식었는 지 모르지만 이미 이 혁명은 세상 모든 곳을 쓰나미처럼 덮쳤다고 말해야 할 것 같다. 따라서 이 혁명은 더 이상 멀리서 바라보면서 평가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쉽게 말해서 우리는 너나 없이 이미 4차 산업혁명이란 깊은 물 길 속에 깊이 잠긴 상태이다. 누구나 이 현상을 이야기하는 것이 가능 해졌다. 자신이 직접 느끼거나 체험한 것을 말한다면 틀리지 않는다. 이전에는 전문가라는 이가 현상을 설명하고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였지만 그런 단계는 지나간 상태이다. 사람들이 관심이 없다. 즉, ‘카더라’ 통신원이 전해 주는 이야기는 별로 귀 기울이지 않게 된 것이다. 유행으로 치면 한 물간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누군가의 기준으로 보는 유행으로 따지면 그럴 수도 있지만 이 도도한 혁명의 변화가 쏟아내는 새 소식이 마르거나 멈춘 것은 아니다. 여전히 전세계에서 발생하는 새 소식은 필자 같은 이의 이메일 상자로 끊임없이 쏟아져 들어온다. 10년이 넘은 시간동안 예외 없이 그러했다. 이런 일을 제일 잘 하는 친구가 구글(Google) 이었다. 구글은 친절하게도 매일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새 소식을 모아서 이메일 박스에 던져 주고 있다. 1년 365일 단 하루도 쉬지도 않고 일을 한다. 필자는 이 소식을 접하기 위해서 인더스트리4.0,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스마트공장, 인공지능 등과 같은 키워드를 태그(Tag)로 만들어 구분해 놓았는데 매일 전해지는 소식은 도대체 줄거나 마를 기색이 없다. 매일 도착하는 자료 수가 최소 100편 이상이다. 뺄 것 빼고 중복되거나 비중 없는 것을 삭제해도 최소 10여 가지 흥미로운 정보는 남는다.


‘양이 질을 구축한다’는 말이 맞다.




이런 정보를 오랫동안 분류하고 저장하고 읽고 분석하다 보면 적지 않은 인사이트가 보석처럼 빛을 내며 드러난다. 가끔은 ‘이런 일을 요즘 장안의 화제인 AI가 대신해 줄 수 없을까’ 생각해 본다. 그러나 필자가 아는 한 이런 일을 할 수 있는 AI는 아직 등장하지 않았다. Goover나 Perplexity, Spiral 같은 AI Agent가 이런 저런 도전을 하고는 있는 것은 알고 있다. 그렇지만 필자가 일하는 수준에 이르려면 한참 멀었다. 필자가 대단한 일을 한다고 말하려는 것이 아니라 AI가 할 일과 사람의 능력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영역이 있다는 말을 하는 중이다. 즉, AI 기술의 발전을 도외시 하거나 무시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AI의 도전을 기쁘게 여기고 있으며 지금이라도 AI에게 줄 일거리를 찾고 있다. 우선 검색이나 정보 요약 같은 것은 AI에게 맡기고 있다. 대신 정보 속에서 의미 있는 것을 찾는 것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려 한다. 윤문을 맡길 수도 있을 것 같다. 간단한 기본 작문도 시키면 어떨까 검토하고 있다. 마땅한 수준의 도구는 아직 발견하지 못했지만 필자의 시간과 업무 강도를 낮추어 줄 것이라 확신한다. 그게 나의 생각이며 판단이다.



Comments


추천 게시물
최근 게시물
보관
태그 검색
공식 SNS 페이지
  • Facebook Basic Square
  • Twitter Basic Square
  • Google+ Basic Square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