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공장 3만개 시대, 질적인 성장을 위한 스마트공장 추진 정책 재점검이 필요하다
한국의 스마트공장 추진은 양적인 관점에서 다른 국가와 비교할 수 없는 압도적입니다. 이런 양적인 성장과 더불어 질적인 성장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 스마트공장 추진 정책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합니다. 스마트공장의 추진은 2014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때 '참조모델'이 만들어졌습니다. 이후 '기능 모델' 만들어졌고, '표준모델 업그레이드', '진화모델', '현장 실태 분석' 등이 이어졌습니다. 또 정량적 측정법으로 5점 만점 척도법, 1000점 만점의 측정법 등이 제시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측정법들은 한결같이 그 타당성이 검증되어 사용되기보다 직관적으로 사용된 한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0점 만점에서 왜 10개 평가 항목의 점수가 각기 다른지, 또 왜 650점이 기초인지, 왜 750점이 중간 1인지 타당성이 취약하다는 뜻입니다. 이는 처음부터 초보, 중간 1, 중간 2, 고도화 등으로 구분할 때부터 안고 있던 문제를 해소하지 않고
5개